객체는 객체대로 설계하고,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는 관계형 DB대로 설계한다. ORM 프레임워크가 중간에서 자동으로 매핑(연결)해주는 역할을 한다.
자바의 객체 간의 관계를 바탕으로 SQL문을 자동으로 생성하여 불일치를 해결
완벽한 객체지향적인 코드
ORM을 이용하면 SQL문이 아닌 클래스의 메서드를 통해 데이터베이스를 조작할 수 있어, 개발자가 객체 모델만 이용해서 프로그래밍을 하는 데 집중할 수 있게한다. SQL 문을 사용하면서 같이 필요한 선언문, 할당, 종료 같은 부수적인 코드가 사라지거나 줄어들며, 각종 객체에 대한 코드를 별도로 작성하여 코드의 가독성을 높일 수 있다. 객체지향적 접근과 SQL의 절차적/순차적 접근이 혼재되어있던 기존 방식과 달리 오직 객체지향적 접근만 고려하면 되기때문에 생산성이 증가한다.
DBMS 종속성 하락
객체 간의 관계를 바탕으로 SQL문을 자동으로 생성하고, 객체의 자료형 타입까지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RDBMS의 데이터 구조와 객체지향 모델 사이의 간격을 좁힐 수 있다. 객체에만 집중할 수 있기 때문에 DBMS를 교체하는 큰 작업에도 리스크가 적고 드는 시간도 줄어든다. 예들 들어 자바에서 가공할 경우 equals, hashCode 의 오버라이드 같은 자바의 기능을 이용할 수 있고, 간결하고 빠르게 가공할 수 있다.
ORM이 모든 것을 해결해줄 수 없다.
ORM을 사용하는 것은 매우 편리하지만 그만큼 신중하게 설계해야한다. 프로젝트의 복잡성이 커질 수록 난이도도 올라가고 부족한 설계로 잘못 구현되었을 경우 속도 저하 및 일관성을 무너뜨리는 문제점이 생길 수 있다. 또한 일부 자주 사용되는 대형 SQL문은 속도를 위해 별도의 튜닝이 필요하기 때문에 결국 SQL문을 써야할 수도 있다.
자바 진영의 ORM 기술 표준으로, 인터페이스의 모임이다. 자바를 통해서 영구적으로 프로그램을 저장 하기 위한 인터페이스